말씀 : 마가복음 14:32-42
설교 : "기도의 이유"
‘놀람’, ‘슬픔’, ‘고민’ 등으로 죽을 것 같이 마음이 힘들었던 적이 있으십니까? 우리는 이런 일들을 살면서 참 많이 경험합니다. 오늘 본문을 보면 예수님도 그런 경험 하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히 놀라시며, 슬퍼 하사’(33절), ‘마음이 심히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34절)
우리의 죄와 실수로 경험하는 고난과 예수님께서 대속을 위해 받으신 고난을 비교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 때, 예수님이 어떻게 하셨는지 확인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1. 예수님은 하나님께 나아가 엎드리셨습니다.
예수님은 고민하며 슬퍼하며 기도의 자리로 나아가셨습니다.(35절) 또한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여 받아들이셨습니다.(36절)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 나아가 엎드려야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도 “여기 머물러 깨어 있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34절)
2. 어떻게 해야하는 지 안다고 그대로 사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은 땀방울이 핏방울 같이 되도록 간절히 기도하셨습니다.(눅 22:44) 천사들도 하늘로부터 예수님께 나타나 힘을 더했습니다.(눅 22:43) 그러나, 제자들은 예수님께 직접 명령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말씀에 무신경 했습니다. 오히려 잠을 잤습니다.(37-41절)
예수님께 직접 받은 명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제자들이 자고 있는 모습을 예수님이 두번째 확인했을 때, 제자들의 반응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그들이 예수께 무엇으로 대답할 줄을 알지 못하더라”(40절) 제자들은 어쩔 줄 몰라 했습니다. 분명 그들은 깨어 있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그들도 우리처럼 마음 먹은 대로 살 능력이 없는 영적 무능력자였습니다.
3. 우리의 육신은 온갖 시험에 약합니다.
38절은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있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라고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기도는 마음 먹음 만으로 되지 않습니다. 우리의 육신은 온갖 시험에 약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육신의 약함을 극복할 수 있는 비결은 역시 “기도”입니다. 영적 무능력자인 우리는 기도로만 깨어있을 수 있습니다.
살면서 경험하는 아픔과 고난의 자리, 예수님은 하나님께 나아가 엎드리어 간구하셨습니다.(35절) 기도의 자리는 예수님 만의 특별한 자리가 아니라 모든 믿는 자가 나아가야 할 자리입니다. 연약한 육신을 갖고 있는 우리는 “기도의 자리”로 나아가야 합니다. 마음이 낙심되며 근심에 눌릴 때, 희망이 사라질 때, 번민이 가득차고 눈물이 흐를 때 머뭇거리지 말고 하나님께 나아갑시다.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에게 충분합니다.
댓글